Tomcat

[Tomcat] Port 8080 required by Tomcat v9.0 Server at localhost is already in use. / 톰켓 안켜짐 / 톰켓 재기동 안됨

Gwer 2019. 12. 14. 17:56
반응형

톰켓과 아파치는 무료로 제공되어 웹 학습에 굉장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이놈의 서버shack it은 도대체가 봐도봐도 잘 모르겠다.

갖은 오류와 에러를 뱉어대서 관련된 오류가 발생할 때마다 뒷목을 잡게 되는데, 오늘은 흔히 발생하는 Port 8080 required by Tomcat 에러 해결방법을 알아볼것이다.

열심히 코딩을 하고 신나게 서버에 올리는데 이런 에러가 발생한다.

대충 8080이란 포트에 이미 Tomcat이 점유하고 있다는 말이다.

아니 ㅋ 이게 무슨 소리?

내 Server는 Stopped 되어 있다고.

안 돌 아 간 다 고.

하지만, 뿅뿅같은 Tomcat은 계속 8080 웅앵 하면서 에러를 토하며 서버를 돌려주지 않는다.

이런 ㅁㄴㅇㄹ!!!

 

이럴때는 우선 진정하고 cmd(명령프롬프트)를 켠다.

soso한 팁으로써, 해당 실행 창은 window키와 R을 누르면 뿅하고 바로 나온다.

아니면 검색창에 cmd를 쳐서 가는 방법도 있다.

뿅하고 나타난 아무리 봐도 친근해지지 않는 cmd창에게 netstat -ano를 명령어로 날려준다.

나도 리눅스와 명령어에는 무지하게 약해서 뭔뜻인지는 정확하게 모르겠다.

(언젠간 더 공부하겠지..)

아무튼 치면은 8080을 찾아본다. 5152라는 PID(프로세스아이디)가 쓰고 있단다.

이 거지같은 프로세스덕분에 지금 Tomcat이 안켜지는 것이다.

해당 프로세스를 조져종료 시켜버리기 위해서 PID를 머릿속에 입력하고 다시 명령어를 날린다.

taskkill /F /PID 5152

난 cmd한테도 거부를 당한다.

니가뭔데 날 거부하냐 죽고싶냐

이성을 부여잡고 검색창에 cmd를 쳐서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한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된 cmd에 다시 taskkill /F /PID 5152를 날려주면 성공적으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그런다음 다시 tomcat을 실행해주면 잘 돌아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