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dbc를 활용하여 DB와 연결하는데 network adapter could not establish the connection오류가 발생했다.

대충 db접근 안된다는 뜻이다.

간단한거라 생각하는데 어쩜 이렇게도 에러와 에러가 무궁무진한건지 모르겠다.

보통 이런 경우라면 입력한 값을 먼저 확인하는게 좋다.

driver, url, id, pw를 확인해본다.

(아니면 Connection객체의 param이나 하여간 Connecting 부분을 먼저 확인해본다.)

근데 아무리 눈알을 빼서 닦고 넣어봐도 틀린게 없었다.

이럴때가 더욱 빡친다.

간단하게 해결될게 아니라는 뜻이기 때문~!~!~!~!

다른해결방법을 찾으러 열심히 구글링을 하다 발견했다.

작업관리자의 서비스 탭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거지같은 Listener가 죽어있었다.

(Listener은 말그대로 듣는녀석이다. '내가 oracle을 부르면 들을것이다.'를 해주는 녀석인데 중지되어있으니 아무리 불러도 듣지를 못한다는 것이다.)

건방진 Listener같으니...!!!!!

내가 꺼지라 한 적도 없는데 혼자서 꺼지고 난리다.

분노를 가라앉히고 오른클릭 후 다시 실행을 시켜주면 연결이 아주 잘 된다.

반응형
반응형

오라클 설치 후, cmd(명령프롬프트)에서 sqlplus 접근하니 계속 invalid 어쩌고 하고 접근이 되지 않았다.

하여간 이놈의 것들은 한번에 되는게 없어

구글을 아무리 뒤져봐도 해결방법이 없었는데, 그 이유가 내 추측에는 비밀번호에 / 가 들어가 있어서 그런 것 같았다.

재 설치 후 비밀번호를 / 가 없는 것으로 설정하지 접속이 잘 되었다.

무튼, 삭제하고 재설치를 하려는데 이놈의 oracle 인스톨러가 게속 'Oracle XE service instance failed' 라는 에러를 뱉았다.

뒤적거려 보니까, sc delete OracleServiceXE를 해주라고 했었다.

그래서 cmd에서 해당 명령어를 날렸으나 액세스가 거부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왔다.

딥빡

 

심호흡을 하고, 액세스 거부에 대해 확인해보니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접근하여 명령어를 실행하라고 되어 있었다.

윈도우 10 기준으로 검색창에 cmd를 입력한 후 오른쪽 클릭을 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된다.

그런다음, sc delete OracleServiceXE 명령어를 날려주면 정상적으로 삭제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그러면 다시 oracle를 설치해주면 성공적으로 설치가 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